공식적으로 알려진 자폐증의 증상은 눈맞춤의 결여, 의사소통 문제 그리고 상동적인 행동을 들 수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자폐 아동의 부모는 아이의 수면문제, 불안감, 섭식 혹은 경련에 대한 치료법에 대해 항상 고민하고 있다. 사실, 많은 자폐를 가진 사람들은 사회성과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이러한 증상을 같이 가지고 있다. 아직까진 우리는 이러한 증상들이 자폐증때문에 일어나는 일인지 혹은 자폐와 함께 동반해서 나타나는 증상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확실한 건 이러한 증상들이 자폐를 가진 사람들에게 많이 보여진다는 것이다.
1. 센서리 문제 와 자폐증
대부분의 자폐를 가진 사람들은 센서리 문제를 함께 보이고 있다. 이들은 소리, 빛, 접촉에 대해 과민한 반응을 보인다. 혹은 반대로 이러한 감각을 과도하게 찾아다니기도 한다. 과도한 혹은 과민한 센서리는, 어떤 쪽이든,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엄청난 어려움을 가져다 주기도 한다. 만약 아이가 빛이나 소리 혹은 입은 옷에 이미 민감하게 반응해서 아이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 아이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다른 기술을 익힐 기회를 잃을 지도 모른다.
2. 소화, 섭식 문제와 자폐증
자폐를 가진 아동들 중에 위나 장에 문제를 가진 아이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종종 이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자폐증 아동이 소화기관에 문제를 보이는 것을 예로 들어 소화기관의 문제가 자폐증을 일으키는 단서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대게 사람들은 단순히 자폐를 가진 아동들은 소화기관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어떤 쪽이든, 자폐 아동에게 적절히 음식을 섭취하게 해줄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는 결론이다. 하지만 음식을 조절함을서 자폐를 치료할 수 있다는 주장은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아동이 섭식에 문제가 없다면 학교나 사회에서 더 쉽게 적응해 나가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3. 경련(Seizures)과 자폐증
자폐 아동 4명 중 1명이 경련성 장애(Seizure Disorder)를 가지고 있다는 통계가 있다. 경련 (Seizure)은 정신을 완전히 잃는 상태(blackout)에서 잠시 멍해지는 것까지 다양한 정도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경증일 경우엔 아동이 경련을해도 잘 알아채지 못하기도 한다. 다른 자폐 증상과는 달리 경련은 의학적인 해결법이 있다. 항경련제(Anticonvulsants)를 사용하면 경련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가장 시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항경련제로는 Carbamazepine (Tegretol), Lamotrigine (Lamictal), Topiramate (Topamax), 그리고 Valproic acid (Depakote)가 있다. 이들 약물에는 부작용도 있기 때문에 본인에게 맞는 약물을 선택해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4. 수면문제와 자폐증
비록 수면문제와 자폐증을 다룬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진 않지만, 많은 자폐를 가진 사람들이 수면에 문제를 보이고 있음을 부정할 순 없다. 어떤 사람은 잠이 들기 전에 오랜 시간이 걸리기도 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수면 중 자주 깨어나는 문제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또한 수면시간이 부족하게 되면 자폐 증상을 훨씬 악화시키기도 한다(즉, 피곤으로 인해 행동 문제가 더 두드러지게 보임). 자폐 아동의 부모역시 아동이 잠을 자는데 문제를 보이면 이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여러 연구에서 멜라토닌(Melatonin)과 같은 보충제를 복용하면 수면에 도움이 된다고 보여주기도 한다.
5. 불안감, 우울증 그리고 자폐증
자폐를 가진 많은 사람들이 불안감(Anxiety), 우울증(Depression) 그리고 분노 문제에 대한 임상적인 진단을 같이 받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는 고기능 자폐나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에게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고기능 자폐나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자폐 아동들이 자신이 또래 친구들과 다름을 더 잘 인식하고 또래로 부터 외면 당하는 것을 더 잘 느끼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러한 기분이나 감정적인 면에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를 뇌의 기능 문제로 보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는 약물이나 인지심리적 치료 혹은 행동 치료를 통해 나아지기도 한다. 만약 이러한 문제가 외부적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거라면 자폐를 가진 사람의 환경을 바꿔주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법이 될 수 있다.
6. 학습 능력과 자폐증
자폐 아동의 일반 아동에게 보이지 않는 학습 문제를 보이기도 한다. 자폐 아동 중 일부는 난독증이나 학습장애를 가지고 있기도 하고, 반면 과독증(Hyperlexia, 어린 나이에 책을 읽고, 단어 읽기 능력은 매우 뛰어나지만 문장 이해력은 늦은 읽기장애의 한 유형)과 같이 일반적이지 않은 능력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어떤 아동은 아주 기초적인 수학 개념을 이해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도 하고, 다른 아이들은 수학에서 또래 아들들에 비해 월등한 능력을 보이기도 한다.
이런 자폐 아동이 보이는 학습 능력에서의 특성을 잘 이해해서 교육시키기 위해 IEP(Individual Education Plan )는 필수적이다. 이론적으론, IEP를 통해서 자페 아동은 학교에서 학습에 대해 자신이 가진 강점을 더 잘살릴 수 있는 기회를 얻고, 어려움에 대해서는 도움을 받을 수 있다.
7. 정신과적 질환과 자폐증
자폐를 가진 사람이 조울증이나 만성적 우울증, 강박신경증 혹은 조현병을 함께 가진 경우를 찾기는 쉽지 않다. 자폐증을 가진 사람이 흔히 보이는 한 가지 사물이나 생각에 집착하는 것과 강박신경증은 의학적으로 다른 질병이다. 또한 자폐증을 가진 사람이 보이는 기분이나 감정적인 문제는 우울증, 조울증, 조현병과는 다른 것이다. 만약 자폐증을 가진 사람이 정신병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면 반드시 전문가를 찾아서 상담을 받아야만 한다.
8. 주의력 결핍/ 행동 문제 와 자폐증
주의력 결핍, 공격적 행동 그리고 집중력 문제가 자폐진단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은 무엇을 뜻할까? 사실 이러한 문제가 자폐 아동에게 너무나 자주 등장한다는 것에 놀랄때가 많다. 따라서 많은 수의 자폐 아동이 ADD나 ADHD 진단을 함께 받는 다는 건 놀라운 일이 아니다. 때로 ADHD아동에게 처방되는 약물이 자폐 아동의 행동이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사실 ADHD와 자폐는 다른 장애이다. 자폐 아동의 경우 센서리 문제를 해결해 줌으로서 집중력과 행동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https://www.verywell.com/additionalcomorbid-symptoms-of-autism-260612